본문 바로가기
책/재태크

왜 물가는 상승만 할까? (Feat 자본주의, 물가가 오르기만 하는 이유)

by 더오아시스 2023. 7. 13.
 
자본주의
『자본주의』는 자본주의를 쉽게 풀어낸 방송,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5부작’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지갑 속 돈과 통장, 매달 갚아야 할 대출금과 이자, 살고 있는 집의 가격 등 이 모든 것이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자유롭지 못한 오늘날, 세계 최고의 석학들을 만나 돈에 관한 진실과 자본주의의 비밀을 밝혀낸다. 그리고 무의식중에 우리를 나락으로 빠뜨리는 자본주의의 유혹과 위협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지도 알려준다. 이 책에서 독자들은 자신이 돈을 알맞게 쓰고 있는지 체크해 볼 수 있고, 자신을 지키며 행복하게 소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
EBS 자본주의 제작팀
출판
가나출판사
출판일
2013.09.27

 

 

금일은 기초 경제 내용이 쉽게 잘 정리된 자본주의라는 책을 읽고

충분히 공감할 부분이 있어 이에 대한 글을 나누고 생각해 볼까 합니다.

 

 

물가는 왜 오르기만 할까?

과일 채소 각종 음식료 교통비용등 물가는 왜 떨어지지 않고 오르기만 할까요?

많은 사람들이 공급 수요 곡선을 보이며 각종 경제적 이유를 데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은 물가상승의 이유를 정확히 설명하지 못한다고 책에서는 말합니다.

 

 

★​우리 사회(자본주의)는 계속적으로 돈을 찍어 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물가상승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라 말합니다.

 

좀더 쉽게 풀어 이야기 하면

현대 사회는 경제적 충격(코로나, 금융위기등)을 받으면

이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달러를 대량으로 찍어 낼수 밖에 없고

이러한 통화량이 시중에 대량으로 풀리게 되면 화폐의 값어치가 떨어지고

결국 현물의 가치 상승이 오고 결국 물가는 상승할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 입니다

현물이 왜 이렇게 오르기만 할까라는 서민들은 계속 힘들게 일한 돈을 앉아서 뺏기는 것 같은 안타까움이 들었지만 이것이 냉혹한 현실이겠구나라는 생각도 듭니다.

그것도 그럴것이 최근의 예만 보아도 명확하기 때문입니다

최근 코로나로 자본주의 사회에 심대한 경제적 위기가 생기자

이를 되살리기 위해 미국은 많은양의 달러를 찍어내었고 결국 돈이 풀리자 엄청난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나라는 무엇하는거지?

물가를 강제적으로라도 내려서 많은 사람이 안정된 삶을 누리도록 노력해야 하는 것 아니야?라는 합리적인 생각도 할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반론조차 또다른 하나를 모르는 것이라 냉혹하게 책에서는 말합니다.

 

 

표심을 생각해야 하는 세계의 각종 정치가들은

이러한 반론에 억지로라도 물가를 내리기위해 각종 정책을 하는 시늉만 할 수밖에 없습니다.

진심으로 지속된 정책이 아니라 시늉만이라고? 참 못된놈들이네 라고 말하기엔

이 정책이 가져다 주는 부작용이 너무 크기 때문입니다.

세계 모든 정부가 물가를 막기 위해 이를 지속적으로 실시 한다면 분명히 짜장면이나 각종 소비재등과 집값등은 확실히 잡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로인한 부작용은 만만치 않습니다.

★부작용이라 함은 고용 불안정입니다.

 

지금 현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만 보아도 충분히 납득이 됩니다.

 

세계의 통화량이 풀리면서 모든나라가 인플레이션(과도한 물가상승)에 힘들어 하고 있고

물가안정 정책으로 미국연준은 계속적인 금리인상 정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그것도 역대 최고의 금리인상을 말이지요

 

이러한 금리인상은 물가를 크게 안정화하는데 도움이 되겠지만

이로인해 부채를 갚을수 없는 기업등이 생겨나고 이를 막지못한 기업은 도산으로 이어지지요

그럼 많은 실직자가 생겨 난다는 것입니다.

이는 대기업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자영업자에 이야기 이기도 합니다.

 

코로나로 인해 각종 대출을 받은 영세업자들은 계속된 금리 인상에 이를 갚아나가야 할 돈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면 가게를 처분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또하나의 일자리를 잃게 되는것이지요

결국 요점은 물가 안정정책은 많은 사람은 강제로 일자리를 잃게하는 부작용이 생깁니다.

 

이로 인해 더 많은 서민들이 막대한 피해를 얻게 됩니다.

 

이러한 경제 위기가 발생하면 정부기관은

또 여느 경제 위기처럼 금리를 낮추고 통화량을 대량으로 풀 수밖에 없는것이지요

미국이라면 달러를 찍어낼것이고 우리나라 정부같은 경우는 금리를 낮추고 대출정책을 완화시켜 돈을 시중에 풀려고 노력하게 됩니다.

 

돈을 찍어내거나 풀게 되면

돈을 사회주의처럼 인위적으로 조절할수 있다면 모를까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계속적인 통화량의 증가는 필연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통화량의 증가는 물가의 상승이기에 우리는 이를 받아들이고 대처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정부가 막아 줄 거야? 정부는 뭐하는거야라는 순수한 생각에서 벗어나서

우리 스스로 경제적 상식을 배우고 이러한 상식선에서는 내가 당장 해야 하는 것은 무얼까를 생각하고 행동을 취하는 것이 맞는 선택이라 보여집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도움이 되었다면 구독과 하트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