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4 배당투자에 적합한 기업 고르는 방법(Feat 시가배당률) 안녕하세요 오아시스 입니다 금일은 일정금액을 매해 꼬박꼬박 내 통장에 넣어주는 배당금 높은 기업을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배당을 보는 지표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시가배당률에 대한 것을 적고 배당률 말고도 주의하면서 투자해야 할 것 등이 무엇이 있는지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시가배당률 시가배당률은 현재 기업의 주가에 대한 배당금의 비율을 말합니다 시가배당률= 배당금/주가 쉽게 예를 들면 기업의 주식이 1주당 50000원이고 배당일에 배당하는 금액이 500원이라면 10%가 시가 배당률이 되는 것입니다. 실생활에서의 기업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삼성전자의 예를 들어볼까요 분기별로 2%의 배당을 하고 있고 기업의 실적이 크게 나오면 특별배당으로 주주들에게 따로 배당하고 있지요 .. 2023. 7. 15. 불황에도 잘버틸수 있는 기업 찾는 방법 (Feat 유보율, 부채비율, 당좌비율) 작년 그리고 올 한 해 가장 화두가 되었던 주제가 무얼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금리”라고 생각하는데요 금리의 가파른 상승으로 많은 자영업자 및 기업들이 사업을 접거나 자산을 최대한 줄이는 상황을 직접 보시거나 경험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세계가 긴축정책을 쓸 때 이런 상황에서도 내가 투자한 기업이 잘 버텨낼 수 있는 기업(불황에도 잘 버틸수 있는 기업)인지를 파악하는 지표가 있어서 이에 대한 것을 설명하려 합니다. 부채비율 명칭만 들어도 어느정도 추측이 되셨겠지요 내 자본대비 대출이 얼마나 차지하는지를 비율로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부채비율 = 부채총액/자기자본 * 100 (퍼센트) 쉽게 풀어서 설명을 드리자면 현재 1000억을 가지고 있다고 하면 이 자금이 내 자기 자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업을 하기위.. 2023. 7. 14. 재무제표 보는법 PER,PBR,ROE 쉽게 알아보기 PER(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 Ratio PER= 시가총액/ 당기순이익 익숙지 않은 용어가 이해를 방해할 듯 보여 간단히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1000억짜리 기업(시가총액)이 있습니다. 이 기업은 해마다 100억씩(당기순이익) 이익을 낸다면 이 기업은 10년이면 자신의 시가총액을 벌어 들일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10년이 PER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기업이 튼실할수록 당기순이익의 비율이 높을 것이고 시가 총액까지의 년수도 적게 되겠지요 PER이 낮을수록 높은 기업보다는 튼실한 기업이라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다만 모든 기업을 똑같은 잣대로 PER을 비교하게 되면 저평가 기업을 제대로 선별할 수 없습니다 테슬라와 같이 누가 봐도 미래 주도산업이라 한다면 PER이 말도 안 되게 .. 2023. 7. 3. 현금흐름표(영업활동현금,투자활동,재무활동흐름),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한번에 쉽게 알아보기 주식을 통해 기업의 투자가치를 판단할 때 차트분석(기술적 분석)과 기업의 가치를 분석(기본적 분석)을 보고 판단을 하곤 합니다 차트 분석은 거래량 분석과 이동평균선등을 이용한 뼈대가 되는 분석방법이 있지만 그 공식 등을 이용해 서로 속이는 냉혹한 시장이기에 저와 같은 경험이 미천한 투자자는 아직은 어려운 고수의 영역이라 생각이 됩니다. 이에 반해 기본적 분석(가치투자)은 다소 미천한 경험자도 재무제표만 볼 수 있다면 비교적 안전한 투자를 할 수 있기에 기본적 분석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그렇다고 차트를 전혀 보지 않으면 지금의 기업의 주가가 싼 지 비싼지를 파악하기가 힘들기에 기술적 분석에 거래량 120일선 60일선 20일 선등의 이동평균선은 큰 틀에서 보고 참고하곤 합니다. 기본적 분석(가치분석)에.. 2023. 7.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