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상식

타이어 연비 높일 수 있는 적정 공기압은?

by 더오아시스 2023. 8. 12.

타이어는 우리의 승차감과 안전 그리고 연비등 많은 연관성을 지니는데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특히 요즈음과 같이 유가의 상승이 뚜렷할 때는 연비에 대해 신경을 쓰지 않을 수가 없는데 타이어의 공기압을 늘리면 또는 공기압을 좀 줄였을 때 무엇에 대한 것이 뚜렷이 좋아지고 나빠지는지에 대해 지금부터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타이어와 공기압에 따른  연비관계
●공기압이 높으면 생기는 장점
●공기압이 높으면 생기는 단점
●계절별 적정 공기압
●마무리

타이어 공기압을 높이면 연비는?

타이어의 공기압과 연비의 관계는 아주 명확합니다. 공기압이 높아지면 좋은 연비로 인해 적은 연료로 더 나아갈수 있습니다. 당연히 공기압이 낮아지면 연비는 낮아집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타이어에 공기 up 하면 연비는 좋아진다

타이어에 공기 down 하면 연비는 나빠진다

 

그렇다면 무조건 공기압을 높이는게 답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승차감 때문입니다. 

타이어의 공기압이 높아질수록 통통거리는듯한 느낌을 받고 이에 승차감은 좋지 못하게 느끼기 때문입니다. 

단 사람마다 타이어의 공기압을 높이면 차가 가벼워지는 듯한 느낌과 차 핸들감이 가벼워져서 운전자에게는 승차감이 더 좋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을 높이면 생기는 장점 또 하나?

타이어의 공기압을 높이면 타이어 마모를 줄일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타이어 공기압을 신경쓰지 않아서 수명이 짧아진 경험이 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적정공기압을 신경 쓰셔서 필요이상으로 타이어와 지면의 접촉면이 많아져 해당 수명을 짧게 하는 우를 범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겠습니다. 

 

공기압이 높으면 생기는 단점

무엇보다 안전입니다. 제동의 문제점이 생깁니다. 잘 굴러가지만 너무 잘굴러가다보면 제동의 문제점 또한 생기는 것입니다. 고속 운전을 하게 되는 고속도로에서의 타이어 공기압을 높이는 것은 분명히 확실히 연비에 도움이 됩니다. 다만 자그마한 마찰에도 흡수력이 떨어져  차의 영향을 줄 수 있기에 너무 높은 공기압이 무조건 좋다고만 할 수는 없습니다.

 

겨울과 여름 계절별 적정 타이어 공기압은?

여름에는 타이어의 공기가 많이 팽창되어 있기때문에 적정공기압이 있다면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되지만 겨울에는 공기가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이 수축되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평소보다 높게 공기압을 넣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승용차의 적정공기압은 36 정도이며 SUV의 적정 공기압은 40정도라고 일반적으로 이야기합니다. 

차종별로 또는 타이어 상태별로 세밀하게 권고하는 적정 공기압이 기종별로 나와 있으니 그것을 참조하는것이 좀 더 정확할 수 있겠습니다.  

 

마무리

타이어의 공기압에 따른 유불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안전이 필요한 도로에서는 연비를 위해 너무 과다한 공기압은 되도록 이면 지양하시고 승차감과 안정성 그리고 연비 이 모든것을 적정하게 조합할 수 있는 적정공기압을 주입하고 다니신다면 이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탁월한 선택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