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그리고 올 한 해 가장 화두가 되었던 주제가 무얼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금리”라고 생각하는데요 금리의 가파른 상승으로 많은 자영업자 및 기업들이 사업을 접거나 자산을 최대한 줄이는 상황을 직접 보시거나 경험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세계가 긴축정책을 쓸 때 이런 상황에서도 내가 투자한 기업이 잘 버텨낼 수 있는 기업(불황에도 잘 버틸수 있는 기업)인지를 파악하는 지표가 있어서 이에 대한 것을 설명하려 합니다.
부채비율
명칭만 들어도 어느정도 추측이 되셨겠지요
내 자본대비 대출이 얼마나 차지하는지를 비율로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부채비율 = 부채총액/자기자본 * 100 (퍼센트)
쉽게 풀어서 설명을 드리자면
현재 1000억을 가지고 있다고 하면 이 자금이 내 자기 자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업을 하기위해 은행등에 900억을 빌려서 사업을 시작했다고 하면
900억/1000억 *100(퍼센트) =90%
이 기업은 안전한 기업이라 할 수 있을까요?
부채가 꽤 크네 90%나 된다고? 라고 보시는 것보다 망하더라도 100억은 남는구나라고 생각하시는게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라 생각하실 수 있겠습니다
물론 부채비율은 낮으면 낮을수록 안전한 기업이라 할수 있지만
보통 100% 안전성이 어느정도 보장된 기업이라 하겠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투자해야 하는 기업이기에 좀 더 보수적으로 말해드리면
코스닥 평균 부채비율이 60% 정도입니다
그러하니 이 보다는 부채비율이 낮거나 평균치인 50-80 %아래인 기업이
안전한 기업이라 보는 것이 투자적으로 나은 선택이라 보입니다..
지금과 같은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는 상황에서는 확실한 성장성이 보이지 않는다면
기업자체를 잠식시킬 수 있는 부채비율은 꼭 따져보고 보수적으로 보길 권해 드립니다.
각종 포탈 증시 사이트에 들어가서 기업 종목분석난을 보시면
이에 대한 부채비율이 잘 계산되어 있으니 참고 후 올바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당좌비율
말이 꽤 까다롭게 들릴 겁니다.. 당좌가 일단 모르겠으니 말이지요
이 당좌비율을 명확히 알려면 당좌자산과 유동부채를 알아야 합니다
★당좌자산
당장 현금화하기 편한 자산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현금, 예금, 유가증권 등이 있습니다.
★유동부채
단기간에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부채입니다
★당좌비율= 당좌자산 / 유동부채
결론적으로 정리해서 이야기드리면
현재 이 기업이 외부에 갑작스러운 위기에도
이를 갚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현금자금동원능력이 어느 정도 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라 하겠습니다
당좌비율의 수치가 100이 넘으면 이 기업은 현금자금(유동성) 동원(유동성) 능력이
좋은 탄탄한 기업이라 보시면 됩니다
위기에 방어력이 탄탄한 기업이라는 것이지요
유보율
기업이 장사를 해서 벌어들인 수익금을 얼마나 잘 쌓아나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유보율= (이익+자본) 잉여금/(납입) 자본금
이익 잉여금은 장사를 잘해서 얻은 수익금액이고
납입 자본금은 주식발행 후 인수 완료된 금액(감자등을 하지 않은 금액)
유보율이 좋을수록(높을수록) 이런 긴축상황에도 잘 버티는 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정리 및 결론
부채비율은 50-80% 정도 낮은 기업
당좌비율은 100 이상 높은 기업
유보율은 높을수록 안전한 기업
그리고 한 가지 덧붙이자면 항상 지표는 동종업계를 비교하고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재무제표를 보고 기업의 각종 지표를 만족하는 것을 찾기는 힘들다고는 합니다 그래서 차트를 먼저 보게 된다고
하지만 지금처럼 어려운 시기엔 최소한 자신만의 가이드는 설정해 놓고 안전한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 이 포스팅의 내용은 수익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본인이 충분히 숙고 후 본인 스스로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투자에 적합한 기업 고르는 방법(Feat 시가배당률) (27) | 2023.07.15 |
---|---|
재무제표 보는법 PER,PBR,ROE 쉽게 알아보기 (3) | 2023.07.03 |
현금흐름표(영업활동현금,투자활동,재무활동흐름),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한번에 쉽게 알아보기 (0) | 2023.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