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아토피의 원인과 좋은음식은?

by 더오아시스 2023. 8. 31.

어려서부터 아토피 피부염으로 고생하는 분들이 많고 그런 자녀분들을 두고 있는 분들 또한 많으실 줄 압니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은 피부의 염증성질환으로 건조한 피부등으로 인해 가려움을 동반한 고통스러운 상태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여러 원인이 있지만 환자의 환경상태와 면역상태 그리고 유전적인 원인 등에 의해서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부분에 대해이야기 하고 어떻게 하면 아토피 피부염을 이겨낼 수 있는지 좋은 음식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토피 피부염의 주요 원인

유전적 요인

 부모나 가족 중에 아토피 피부염이 있으면 본인 역시 같은 질병을 가질수 있는 위험률이 높습니다. 

유전적인 요인은 크게 보면 겉 피부의 장벽부분의 이상과 면역력에 대한  증가된 활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피부 장벽 기능 이상

피부 장벽 기능이 약하게 되면 햇빛의 자외선이나 건조한 주의 환경 그밖에 알레르기등의 요인등에 의해 피부가 민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이러한 반응이 심한 간지럼으로 이어지고 이에 피부를 심하게 긁게 되면서 심하게 붓거나 상처가 생기게 됩니다. 피부의 상처를 입지 않도록 평소 손톱등을 짧게 자르는 것도 필요합니다.

 

면역 시스템의 이상한 반응

 

아토피 피부염을 가지게 되면 면역체계가 좋지못하여 여러 환경적 요소에 필요이상으로 피부가 반응하여 여러 염증 및 피부질환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관리 방법

 

피부관리

 

적절한 보습유지

피부의 보습유지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보습에 관련된 로션등으로 건조함을 예방하는것이 중요합니다. 피부에 뜨거운 물등으로 샤워를 하는 것은 피부를 건조하게 하는 습관이니 삼가고 되도록 이면 미지근한 물로 세안 및 샤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목욕 후 5분 이내에 보습제를 발라주어 피부에 보습을 유지해야 합니다.

 

자외선 차단

햇빛의 자외선을 차단하기위해 선크림을 발라 주는 것이 좋은데 피부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아 아토피 전용 선크림 등을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환경 습도유지

스킨 로션등으로 피부를 보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방등이 건조한 경우는 가습기 등으로 습도를 유지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습관

부드럽게 세안

세안시 피부를 깨끗이 닦을 목적으로 강하게 문지르거나 때를 밀 목적으로 타월등을 사용하는 것은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부드럽게 손으로 여러번 세안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밀착된 옷 보다는 통풍이 잘되는 옷

 피부에 부담이 덜된 자연친화적인 면 소재의 옷을 입도록 하고  땀등이 잘 배출될 수 있는 옷등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부드러운 소재의 옷등은 필요없는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무리한 업무나 학업등을 피하고 명상이나 적절한 여가활동등으로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아토피 피부염에 좋은 음식

 

항염증 식품 섭취

폴리페놀

항염증에 효능 있는 성분으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피부를 진정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폴리페놀이 풍부한 음식으로는 브로콜리, 양배추, 블루베리, 카레, 호두등이 있습니다. 

 

오메가-3 지방산, 엽산 비타민 E

등 푸른 생선 물고기, 엽산과 비타민 E가 풍부한 녹색채소류와 아몬드, 시금치등은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아토피에 도움이 됩니다. 

 

의료적 치료

의사와 상담

 피부 전문의와 상담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스테로이드 크림의 부작용등을 생각하여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다른 천연 재료만을 고집하는 경우 초반에 아토피를 다스릴 수 있는 기간을 놓쳐 병을 키우는 경우도 생깁니다. 따라서 전문의의 적절한 조치등을 따르되 초반에 병을 다스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마무리

아토피 피부염은 그 원인이 개인별로 워낙 다양하고 그 원인 모를 이유로 아토피로 고생하는 경우도 생겨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토피에 좋은 음식등과 규칙적인 생활 습관, 그리고 전문의의 진단 및 조치등을 통해 아토피를  완화시키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